본문 바로가기

POWER INTERVIEW

김진형 부산지방중소기업청장

 

"부산지역 창업지원시스템 구축과 투자펀드 전문가 양성에 힘쓸 것"

 

  부산지방중소기업청 김진형(56) 청장은 경제기획원 행정예산담당관실과 중소기업청 기술지도과장, 국제협력담당관, 감사팀장, 경영지원국장, 경기중소기업청장, 청와대 중소기업비서관, 중소기업정책국장 등을 수행하며 중소기업 정책분야 경력을 꾸준히 쌓아왔다. 본 인터뷰를 통해 김 청장은 부산지역 중소기업 현황과 향후 청년창업가가 주목할 만한 중기청 지원 계획에 대해 밝혔다.

 

Q. 부산지방중기청장으로 취임하신 지 16개월 정도 됐다. 요새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현장 분위기나 상황은 어떤 것 같나?

 

A. 1년을 기준으로 전국평균 약 10% 정도의 기업이 전 부처의 중소기업 정책을 활용하고 있다. 이 중 부산 중소기업의 활용도는 약 8%대로 평균보다 낮고 약 12%대인 수도권에도 못 미친다. R&D 분야도 상황은 비슷하다. 중소기업이 많은 부산은 정책활용이 매우 중요하지만, 기업의 활용도는 낮다. 물리적 거리 때문만은 아니다. 지방중소기업청이 존재하고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지 않나. 기질적으로 부산기업들이 자기독립적 성향이 강한 편인데다 구조적 문제도 있다. 정부의 정책을 활용하는 것보다 원천기업에 잘 보이면 된다는 생각이 보편적이다.

 

Q.  취임 이후 다양한 청년창업가와 예비창업가들을 만났으리라 생각된다. 그들이 말하는 창업의 가장 큰 어려운 점은 무엇이고, 이에 대해 어떤 조언을 해줄 수 있겠나?

 

A. 가장 시급한 문제는 자금과 판로개척이다. 자금부분에 있어서 부산청년기업의 미래는 희망적이다. 지난 해 부산시와 중기청이 합심해 창업지원과를 신설했고, 지방 최초로 부산형 창업타운 센탑도 탄생했다. 마이크로VC, 개인투자조합 등을 유치하는 성과도 냈는데 여기에 예비창업자 및 청년기업들을 투자·유치하는 단디벤처포럼이 큰 기여를 했다. 문제는 부산에 펀드를 운영할 능력 있는 벤처캐피탈리스트(VC)들이 거의 없다는 것. 이에 부산중기청은 투자전문가 양성을 위해 올 해 내 벤처캐피탈협회와 함께 부산에서 VC 양성과정을 개설하고자 한다. VC 자격이 있는 두 사람 이상만 있어도 창투사 설립이 가능한데, 부산에 연고를 둔 전문가들로 하여금 투자자를 확보케 하여 창업기업 투자가 이뤄지면 지역기업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산기업들이 가진 판로 쪽의 큰 강점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이다. 지역마다 스폰기업이 따로 있지만 부산의 경우 유통에 강한 롯데를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싶다. 다른 지역보다 경쟁력이 있는 부분이다.

 

 

 

 

Q. 올해 하반기 및 내년도 부산중기청의 역점사업 중 청년창업가들은 어떠한 사업이나 정책을 주목할 만한가?

 

A. 교육 위주였던 부산의 창업선도대학들을 창업가를 키우는 방향으로 전환 중이다. 비즈니스 공간 제공뿐만 아니라 대학 내 소통과 교감, 자금 문제, 기술적인 자문 등 효율성 있는 정책을 지원하려 한다. 펀드를 만들어 투자·유치해 중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면서 운용토록 하고, 대학 내 창업보육센터와 창업지원단이 서로 소통하고 융합하도록 할 계획. 인큐베이터, 이공계 교수들과의 교감과 합심 등 그 연결고리도 앞으로 더욱 명확히 하려고 한다. 또한 IR, PPT 등의 지원을 통해 BI 출신 기업의 투자·유치의 길을 마련할 것이다. 4개 창업선도대학을 합쳐 액셀러레이팅 사업을 진행해 예산 규모를 키우고 장기간의 세부적인 지원을 통해 각 기관 간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9월에는 벤처VC와 기업 간의 만남을 잇는 벤처로드쇼도 기획 중이다. VC와 기업들이 만나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전문가들의 참여와 유입을 끌어들이려 한다. 창업선도대학 기술창업스카우트제도도 주목할 만하다. 좋은 아이템을 발굴하여 사업화 의지가 있는 분들과 연결시키는 제도인데, 대기업 취업을 위한 스펙쌓기가 아닌 성장하는 창업기업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Q. 중기청이 IT, 기술제조 기업 지원에 많이 치우쳐 있다는 의견이 많다. 지식서비스, 디자인, 공예 등 타 업종에 대한 지원이나 사업은 없는가? 있다면 소개해 달라.

 

A. 중기청에서 지원하는 관련 사업으로 1인창조기업 마케팅지원사업이 있다. 향후 서비스R&D 분야로 기원 지원을 확장해가려고 한다. 아직 갈 길은 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것의 가치를 인정하는 데에는 약하지 않나. 특히 서비스 분야는 명확한 평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정량화, 개량화하기 어려운 서비스 분야에 대해 평가표 및 평가방식을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분명한 것은 미·영국 등 선진국들이 그렇듯 점차 고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하는 분야로 산업체질이 바뀌어나갈 것이라는 사실이다. 수요가 많은 쪽으로 정부의 재원 조달의 방향이 향할 수밖에 없다.

 

Q. ()부산청년CEO협회는 부산지역 청년창업가 네트워킹의 구심점으로서 제도 및 규제 개선을 통한 창업기업의 안착과 성장을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중기청과 협회 간 협업 및 공조 가능한 영역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A. 지방청은 정부 정책을 잘 몰라서 지원하지 못 하는 기업가들을 위해 정부 정책에 대한 홍보기능을 강화하고, 개별 기업 맞춤형 사업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무엇보다 서로 자주 보고,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면 한다. 청년CEO들이 제기하는 건의사항들을 많이 들어야 본청 담당자들과도 논의를 하면서 제도 개선을 해나갈 수 있지 않을까. 아이디어도 더 창출되고 참석한 개별 기업의 상황을 파악하기도 용이할 것이다. 정부지원제도뿐만 아니라 판로개척의 연결고리 역할을 지방청이 하는 경우도 있으니 여러모로 공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Q. 부산 중소기업 지원기관의 수장으로서 앞으로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있고, 청년창업 활성화에 대해선 어떠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다.

 

A. 여러 청년창업기업들을 만나다보니 제조보다 지식서비스 분야가 더 많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느낀다. 지식서비스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과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른 정책적인 툴의 개발에도 치중해야 할 것 같다. 가장 큰 목표는 수도권에만 한정되어 있는 창업지원시스템과 투자펀드 등을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인 부산이 잘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다행히 초기 단계는 이미 잘 다져놓았다. 이제는 사람을 키우고 인프라를 구축해나가는 일이 중요하다.

 

 

CopyrightⒸ 2016. 순간과영원. All rights reserved